본문 바로가기

한국 게임

2022년 한국 게임 이용자 실태조사 동향 보고

반응형

문화 체육 관광부와 한국 문화 진흥원은 24일부터 한 달간 전국 10세 이상, 65세 이하 6000명이 연구 조사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와 대면 문의를 하는 형식으로 이들의 일상적인 비디오게임 이용 현황과 게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2022 게임 이용자 현황조사'(이하 '현황조사')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보고서에 따르면 게임은 현재 한국에서 세대 간 세대 차이를 깨고 한국에서 국민 e 스포츠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게임 시장의 일부 기본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재미있는 자료들을 추려냈다.


우리나라 국민의 74.4%는 게이머이며, 한국 여성들은 아케이드 게임을 더 선호한다.

'현황조사'에 따르면 2022년 74.4%의 국민이 게이머였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여파로 인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둔화되면서 게임 플랫폼의 실제 이용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데, 이 중 모바일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2021년 90.9%에서 84.2%로 6.7% 하락했으며, PC게임을 이용자는 2021년 57.6%에서 2022년 54.2%로 3.4%하락했다. 콘솔 게임은 21%에서 17.9%로, 아케이드 게임은 9.8%에서 9.4%로 각각 떨어졌다.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평균 게임 시간 길이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반면 모바일 게임 이용 시간의 경우 평일이나 주말 플레이의 평균 일일 게임 시간이 짧아지면서 한국 게이머들은 전반적인 용시간은 약세를 보였다. 한국 게이머의 평일 하루 평균 플레이 시간은 2021년 145분에서 2022년 132분으로 13분 줄었지만 주말의 경우 지난해 232분에서 올해 209분으로 23분 줄었다.

 

'현황조사'에 따르면 남녀 이용자는 플랫폼 별로 남성 이용자는 PC, 콘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49.7%가 PC로 게임을 하고, 남성 이용자의 14.9%가 콘솔을 선택하는 데 비해 여성 이용자의 경우 해당 각각 30.6%,11.7%만이 pc와 콘솔에서 게임을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게임과 아케이드 게임은 더 많은 여성 이용자의 선택을 받았다. 여성 이용자의 65%가 모바일 게임을 선택한 반면 남성 이용자는 60.2%,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여성 이용자의 7.4%, 남성 이용자의 6.5%가 이 같은 선택을 했다.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반면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 선택에서는 한국의 52.8%가 부분 유료화 장르 게임을 선호하는 반면, 17.8%만이 정액제 게임을 선택했으며 29.5%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학부모의 59.3%가 아이와 함께 게임을 할 정도로 게임 환경이 좋아지고 있다.

'실태조사'에서는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하는지 조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학부모의 59.3%가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2021년에 비해 1.8% 증가했고, 이는 2016년 37.8% 이후 6년째 계속 상승세다.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반면 학부모 연령대별로는 젊은 세대일수록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하겠다는 의지와 행동이 강했다. 이 중 20대 에서는 80.2%가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하며 30대 73.3%, 40대 61.8%, 50대 43.4%, 60대 이후에는 39%가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한다.

 

 

특히 평소 게임을 즐기지 않는 학부모도 35.7%가 자녀가 원하면 함께 게임을 하겠다고 답했다.

 

 

이 같은 수치와 현상에 대해 한국 학부모 가운데 게임을 통해 자녀와 소통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게임이 학부모와 자녀의 공감과 소통의 장이 된다면 건전한 게임 이용환경 조성, 건전한 게임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자료 출처 : 2022년 게임 이용자 실태보고

 

이런 추세 덕분인지 2022년에는 23.5%만 자신이 게임 중 성희롱과 성차별 경험해 2021년에 비해 3.1%포인트 줄었다고 포고했다.

 

 

게임 내 성희롱/성차별을 겪은 이용자 중 43.9%는 해결 방법으로 게임사에 신고했다. 그러나, 30.85%는 이에 대해 무시했고 22.7%는 피의자에게 직접 대응하는 수치를 보였다.

 

 

게임업체들의 신고에 대해 63.8%는 "채팅 금지", 40.4%가 '게임 이용 정지'는 응답까지 받았다"고 답했지만 35%는 "관련 행위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반응형